화력발전소 폐기물 처리시설 논란…'미비' vs '충분'

[the300]

지영호 기자 l 2015.01.26 17:53
삼척화력발전소 조감도


올해말 준공 예정인 삼척화력발전소의 폐기물 잔존 여부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국회에서는 구체적인 폐기물 처리 방안을 마련하지 않은 채 건설되고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화력발전소 측은 재활용 방안이 충분해 문제될 것이 없다며 맞서고 있다.

국회 국민안전혁신특별위원회 소속 강석호 새누리당 의원은 26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를 통해 삼척그린파워 1·2호기가 석탄재 처리장 설치계획 없이 공사를 진행 중이라고 지적했다.

석탄재는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발전을 위해 사용하고 남은 폐기물이다. 강 의원 측은 이 화력발전소가 석탄재 매립시설이나 처리시설을 갖추지 않은 채 공사를 추진하고 있어 석탄폐기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설명이다.

강석호 의원실 관계자는 "삼척 화력발전소 건립사업에는 성토장(석탄재를 쌓아두는 곳) 조차 없다"며 "매립 공간이 없는 동해에서 바지을 이용해 갯벌이 있는 서해안으로 옮길 수밖에 없는데 막대한 고비용이 발해 현실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 측이 삼척그린파워 화력발전소의 처리계획 미비를 지적하는 이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석탄재를 100% 재활용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해마다 화력발전소에서 800만톤의 석탄재가 발생하지만 이 중 20%는 재활용되지 못한 채 매립하고 있다.

국내 시멘트 회사들이 일본산 석탄재를 대량 수입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일본 화력발전사는 재활용 처리비용까지 감안해 매립비용보다 낮은 가격에 공급한다. 그러다보니 국내 시멘트사들이 방사능 오염 우려가 있는 일본산 석탄재를 수입하고 있다. 일례로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인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69만톤을 들여오면서 1330억원의 수익을 남긴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었다.

산업부 제6차 전력수금기본계획 기준 동해안에는 삼척그린파워 외에도 같은 규모의 화력발전소 세 곳이 역시 석탄재 처리장 없이 2019∼2021년 들어설 예정이다. 강릉안인화력 1·2호기가 2019년에, 삼척화력 1·2호기가 2019년과 2021년에, 동부하슬라화력 1·2호기가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준공될 예정이다. 강 의원 측은 이들 모두 석탄재 처리장 설치계획이 없어 운영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삼척그린파워 화력발전소 발주처인 한국남부발전 측은 이 같은 우려에 대해 기우라는 입장이다. 연간 발생하는 70만톤 석탄재의 100% 재활용하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어 별도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연간 발생하는 70만톤 중 40만톤 규모의 레미콘 혼화재의 경우 삼척화력발전소 내 삼척에코건자재주식회사(특수목적법인)를 설립해 내년 5월까지 40만톤 규모의 설비 준공을 마치기로 했다.

18만톤 규모의 광산 복구재 활용 방안으로는 한국광해관리공단에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환경부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쳤다. 폐기물 석탄재의 재활용 지침을 개정해 석탄재를 광산 복구재에 포함시키는 안을 환경부, 산업부 등과 협의 중이다. 관계부처 관계자들이 긍정적으로 판단하고 있어 무난하게 지침 개정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다. 

12만톤 규모의 시멘트 원료 활용 부분은 일본 수입이 어려운 내륙의 4개사(아세아시멘트, 성신양회, 현대시멘트, 한일시멘트)에 공급하면 문제없다는 설명이다.

남부발전 관계자는 "4개사는 현재 경남 하동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회를 사용하고 있는데 재활용율은 작년 135%, 재작년 143%로 석탄회 품귀현상이 꾸준하다"며 "부족한 물량을 삼척화력발전소에서 충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동보다 물류비용도 적게 들어 시멘트 원료 활용 면에서도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