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숫자놀음…'지지율 80%와 의석수 107석'

[the300]

박재범 기자 l 2017.07.11 04:15

청와대는 매일 지지율을 챙긴다. 민감하고 예민하다. 일희일비하지 않는다며 태연한 척 해도 마음이 그렇지 않다. 여론 동향을 시시각각 분석한다. 여론을 숫자로 확인하는 게 지지율이다. 사실 민주주의 속성이 ‘숫자 놀음’이다. 선거나 다수결의 원칙 등이 그렇다. 다수의 지지만큼 좋은 명분도 없다.

지지율은 국정 운영의 출발점이자 동력이다. 문재인 정부의 초반 행보는 여기 기댄다. ‘촛불 민심’을 강조하는 것은 ‘높은 지지율’을 믿는다는 선언이다. 실제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은 80%를 웃돈다. 지난 7일 발표한 한국갤럽 기준 문 대통령 지지율은 83%로 여당 지지율(50%)보다 훨씬 높다. 정권 초라는 특수성을 고려해도 기대 이상의 고공 행진이다. 역대 대통령 지지율 고점을 비교해보면 김영삼 전 대통령(83%), 김대중 전 대통령(71%), 노무현 전 대통령(60%), 박근혜 전 대통령(60%), 노태우 전 대통령(57%), 이명박 전 대통령(52%)순이었다.

지지율이 마냥 높을 수는 없다. 언젠가는 꺾이게 돼 있다. 아무리 맛있는 요리도 질리기 마련이다. 그래도 지키려하는, 지키고 싶은 선이 있다. 전문가들은 흔히 밥자리에 빗댄다. 70%대 지지율을 보자. 4명이 한 밥상에 앉았는데 반대나 비판의 목소리가 없는 수준이다. 모두 찬성하거나 아예 입을 열지 않는 ‘샤이(shy)’ 한명이 존재하는 정도의 지지율이다.

60%대도 비슷하다. 3명이 술잔을 기울 때 과반이 지지의 목소리를 내는 숫자다. 다른 한명이 반박하더라도 두 사람이 협공을 가한다. 이성과 감성으로 몰아붙인다. 반대로 30%는 마지노선이다. 3명의 술자리에서 협공을 당할 수밖에 없다. 어떤 설명도 먹히지 않는다. 반등의 기회도 잡기 힘들다. 이게 이어지면 25%선이 뚫린다. 4명이 앉은 테이블에서 지지 목소리가 사라지는 상황이다. 지지율도 관성의 법칙을 갖는다.

문 대통령의 숫자 80%는 현재 밥자리, 술자리의 여론을 뜻한다. 그 사이 문 대통령의 또다른 숫자 41.08%(대선 득표율)는 잊혀진다. 집권 여당의 숫자는 50%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 우원식 원내대표의 숫자이기도 하다. 국민의당을 향한 추 대표의 강한 발언, 한국당을 겨냥한 우 원내대표의 압박 등은 이 숫자의 힘이다. 반면 야당의 숫자는 ‘100%-여당(50%)=50%’가 아닌 ‘100%-문재인(80%)’에 가깝다.

국민의당 숫자를 보자. 1년여전 치러진 총선 때 국민의당이 얻은 비례대표 득표율은 26%였다. 민주당보다도 1%포인트 앞섰다. 의석수에 비해 발언에 힘이 실렸던 이유다. 반면 지금은 4%다. 추 대표의 강한 발언이 이어져도 국민의당을 향한 동정여론조차 생기지 않는다. 제1야당의 숫자는 10%다. 보수정당 지지율로는 최저 수준이다.

하지만 이들 야당은 다른 숫자를 본다. 국민의당은 40석(의석비율 13.4%)을 여전히 부여잡는다. 자유한국당은 107석(35.8%)이 자신의 숫자다. 선거를 통해 얻은 소중한 결과지만 현실과 괴리가 엄연히 존재한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와 정우택 한국당 원내대표간 미묘한 입장차도 여기서 비롯된다. 홍 대표는 당의 지지율을 높이는 게 급선무다. 대선 때 자신이 받은 지지율(24%)에도 못 미치는 당을 이끄는 대표의 현실 인식이다. 지금은 여당이나 대통령에게 반대할 최소한의 수준도 안 된다고 판단하는 듯 하다.

정 원내대표는 문재인의 80%, 민주당의 50%는 허울뿐이라고 본다. 그는 '120석(민주당) VS 107석(한국당)' , 또는 '120석(여당) 대 173석(야당)'만 강조한다. 결국 문 대통령은 80%의 숫자를, 야당은 자신들의 의석수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과 여당은 ‘협조’를, 야당은 ‘협치’를 외친다. “소신껏 해라” “양보해라” 등 상충된 제언 속 듣고 싶은 것만 인용한다.

정답은 없다. 부여잡은 그 숫자를 믿는 만큼 책임지면 된다. 다만 숫자는 변한다. 자신의 숫자만 맹신하는 쪽이 더 많은 것을 잃는다는 교훈을 너무 쉽게 잊는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