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당권 주자들 본격 레이스…관건은 '확대'와 '집중'

[the300]황교안-오세훈 등 지방순회 시작, 원내 주자들도 속속 출마 기자회견

박종진, 강주헌, 이상원 기자 l 2019.01.20 16:54

(왼쪽부터)황교안 전 국무총리, 오세훈 전 서울시장,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사진=머니투데이 자료사진


2.27 전당대회를 한 달여 앞두고 자유한국당 당권주자들이 움직인다. 황교안 전 총리와 같이 당내 지지기반은 약한 '헤비급 신인'까지 뛰어들면서 일단 초기 관심을 끄는 데는 성공했다. 잠재적 후보군까지 합치면 10명 이상이 나서면서 당권경쟁 레이스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당권 레이스는 확대와 집중에 달렸다. 지지층의 외연을 넓히는 작업과 함께 역량 결집을 위한 계파별 단일화와 이합집산이 승패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황 전 총리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21일 영남권을 시작으로 지방을 순회하며 지지기반 다지기에 나선다. 각 지역 당협위원장, 당원 등과 얼굴을 익히며 당권주자로서 스킨십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황 전 총리는 이날 대구 경북도당에 인사를 하고 '여성 정치 아카데미' 행사에 참석해 당원들에게 인사한다. 오후에는 부산시당을 방문해 당원들을 만난다.

이어 이번 주중 충청, 호남, 수도권 등 전국의 시·도당을 방문하는 지방 순회 일정을 소화한다는 계획이다. 황 전 총리는 페이스북 정치도 시작했다. 


19일 본인 계정에 "정치 신인 황교안이 가야 할 길, 자유한국당이 가야 할 길, 한국정치가 가야 할 길에 답을 달라"고 적었다. 최근 전당대회에 대응해 언론 담당자 등 필요한 보좌진의 영입도 속속 진행 중이다. 황 전 총리는 캠프 구성이 마무리되는 대로 공식 출마 선언을 할 것으로 보인다.


황 전 총리와 함께 강력한 당권주자로 꼽히는 오 전 시장도 21일 영남권을 방문해 당원들을 만난다. 오 전 시장은 '경제 살리는 야당'을 내세워 원전 설비 만드는 회사가 밀집한 창원, 지역 경제가 어려운 부산과 울산 등을 연이어 방문해 민생 현장을 직접 보겠다는 계획이다.

당 안팎에서는 이달 말 본인의 저서 '미래' 출판기념회에서 출마를 공식화할 것으로 예측한다.

홍준표 전 대표는 이달 30일 '당랑의 꿈' 출판기념회에서 출마 여부를 밝힐지 주목된다. 김태호 전 경남지사와 김문수 전 경기지사 등도 당대표 출마를 검토해왔지만 지지기반이 겹치는 황 전 총리의 바람이 거세지자 고심 중이다.


(왼쪽부터)심재철 의원, 정우택 의원, 조경태 의원, 주호영 의원, 안상수 의원, 김진태 의원



원내 당권 주자들도 분주해졌다. 안상수, 김진태 의원은 23일 공식 출마 선언을 예고했다. 안 의원은 24일 인천을 시작으로 전국 투어에 나선다.

출마를 기정사실화한 심재철‧정우택·조경태·주호영 의원도 이번 주 기자회견 날짜를 조율 중이다. 심 의원은 지난해 연말부터 지역을 돌며 당권 도전을 준비했다. 정 의원은 21일부터 부산, 경남, 대전을 차례로 방문한다. 지난주 영남 지역을 돈 조 의원은 이번 주 수도권과 강원도를 찾는다. 주 의원은 대구 경북을 방문한다.

당초 불출마 의사를 밝혔던 김무성 의원과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의 최종 결단도 곧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황 전 총리의 등장으로 판세가 바뀌면서 입장 변화 가능성이 점쳐진다. 최근 김 위원장은 출마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두고 보자"며 여지를 남겼다.

각 주자별 속내가 복잡한 가운데 결국 승패는 얼마나 세를 넓히고 동시에 지지기반을 하나로 모으느냐에 달렸다. 당내 기반이 취약한 황 전 총리와 오 전 시장 등은 먼저 확대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황 전 총리는 친박 주자로 낙인 찍히는걸 경계하며 김무성 의원 등 여러 비박계 의원과 접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 전 시장은 비박계 모임과 거리를 두는 등 당내 상당한 친박 세력을 의식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당 대표에 출마하면 최고위원이 될 수 없는 전당대회 규정도 변수다. 유력 주자들을 중심으로 계파별 합종연횡 과정에서 상당수 후보들은 최고위원 선거 출마로 방향을 틀 가능성이 높다. 설 명절 이후 당내 지형과 민심의 향방에 따라 지지기반별로 후보 단일화 등이 이뤄질 공산이 크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