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웰 "한일갈등 해결 노력할 것"…美 '대화촉진' 시사(종합2보)

[the300] 강경화 외교 예방 후 회견서 "곧 해결되길 기대"...정부고위관계자 "日과 건설적 대화로 해결"

오상헌 기자, 최태범 기자, 최경민 기자 l 2019.07.17 17:06
(서울=뉴스1) 박세연 기자 = 윤순구 외교부 차관보와 데이비드 스틸웰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회담을 마치고 나서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스틸웰 차관보는 이날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제2차장,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윤순구 외교부 차관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차례로 면담했다. 2019.7.17/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이비드 스틸웰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17일 일본의 대한(對韓) 경제보복으로 촉발된 한일갈등과 관련해 “미국은 양국 모두의 절친한 친구이자 동맹으로서 문제 해결 노력을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틸웰 차관보는 이날 오후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장관과 면담을 마친 뒤 가진 도어스테핑(약식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한일 양국의 관계 강화에 큰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2박3일 일정으로 전날 밤 방한한 스틸웰 차관보는 이날 오전 외교부에서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본부장과 회동하고 오후엔 윤순구 차관보, 강경화 장관 등과 연쇄 미팅을 진행했다.

스틸웰 차관보의 방한은 일본 정부가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 ‘제3국 중재위원회 설치에 응하라’며 답변 시한으로 제시한 18일을 목전에 두고 이뤄졌다. 강 장관은 스틸웰 차관보와 가진 면담에서 “이렇게 도전적이고 어려운 시기에 다양한 레벨에서 함께 협력할 수 있기를 고대한다”고 말했다. 스틸웰 차관보는 “이 지역(동북아)의 어떤 중요한 문제도 우리의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의 협력 없이는 해결될 수 없다”며 “기본적으로 한일은 이런 민감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며, 곧 해결이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했다.

윤 차관보는 스틸웰 차관보와 일본의 수출통제 문제를 협의했다며 “우리 입장을 설명했고 스틸웰 차관보는 ‘미국도 대화재개를 통해 이 문제가 해결되는데 도울 수 있도록 나름의 노력을 해나가겠다’는 말을 했다”고 전했다. 스틸웰 차관보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미국의 ‘관여(engage)’ 여부를 묻는 질문에 “우리는 동맹이므로 한국, 미국과 관련된 모든 이슈에 관여할 것”이라고 했다. 스틸웰 차관보가 한일갈등 해결을 위한 ’대화 재개’와 ‘미국의 노력’을 거듭 언급함에 따라 한일간 외교적 협의의 장이 열릴지 주목된다.
(서울=뉴스1) 박세연 기자 =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제2차장이 17일 오전 데이비드 스틸웰 신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와 면담을 마치고 서울 종로구 외교부를 나서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9.7.17/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스틸웰 차관보는 한일 문제 외에 트럼프 정부의 중국 견제 구상인 ‘인도태평양 전략’에 한국이 참여하는 문제도 협의했다. 그는 “우리는 굳건한 한미동맹을 어떻게 강화할 것인지 논의했고,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국의 신남방정책의 접점을 찾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스틸웰 차관보는 다만 이날 연쇄 회동에서 한국의 이란 인근 호르무즈해협 항행 민간선박 호위 참여 문제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 관련한 언급은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정부 고위관계자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 간담회에서 “일본과 건설적인 대화를 통해 수출 규제와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에 관한 분쟁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며 “수출 제한 조치를 즉각 철회하라. 우리가 원하는 건 대화로 원만히 해결하고 복잡한 문제에 대한 창의적인 해결책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청와대가 공식화한 3국 중재위 ‘수용 불가’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일본이 경제보복 철회를 위한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한다는 점을 거듭 촉구한 것이다. 정부는 강제징용 문제의 경우 우리 정부가 제안한 ‘1+1안’(한일 기업의 출연을 통한 강제징용 피해자 위자료 지급)을 일본이 수용할 경우 외교 협의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