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누가 ‘대선불복’ 프레임을 뒤집어씌웠나

[the300]

이원광 기자 l 2019.02.07 16:08
“대선 정당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지난달 31일,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언제 저희가 대선 불복이라고 했느냐”(지난 6일, 나 원내대표)


어감의 차이일까, 태도의 변화일까. 김경수 경남지사의 법정 구속 직후 공세를 이어가던 자유한국당이 되레 억울함을 호소한다. ‘대선 불복’은 여당이 한국당에 뒤집어 씌우는 프레임이라는 하소연이다.

일주일 전 한국당의 메시지를 고려하면 이같은 주장이 사뭇 낯설다. 나 원내대표는 지난달 31일 자유한국당 의원 60여명과 청와대 인근에 모여 “문재인 정권은 태생부터 조작 정권, 위선 정권 아니었느냐고 의심된다”, “민주화 이후 가장 심각한 불법선거 운동이고 대규모 민주주의 파괴”는 발언을 쏟아냈다. 

‘불법 선거’로 탄생한 ‘조작 정권’으로 규정하면서도 ‘대선 불복’은 아니라는 결론에 여·야 지지층 모두 고개를 갸우뚱 했다. 정치권에선 한국당이 ‘역풍’을 고려해 수위 조절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왔다. 

리얼미터가 지난 4일에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문 대통령 국정 수행의 긍정평가는 48.8%로 전주 대비 1.1%포인트 올랐다. 리얼미터는 “부정선거, 대선 무효, 대통령 수사 특검 등 한국당의 공세가 역풍으로 이어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지난 19대 대선 결과를 봐도 그렇다. 문재인 대통령은 41.08%의 특표율로 국민의 선택을 받았다. 2위 후보와 17%포인트 이상의 격차다. ‘드루킹’ 일당의 댓글 조작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선거 결과였다. 

결국 남은 것은 여‧야 간 소모적 정쟁이다. 여당은 '대선 불복'으로 역공을 취하고 야당은 여당에 '재판 불복' 프레임을 씌운다. 2월 임시국회 문도 열지 못한 채 말이다. 국회엔 △선거제 개혁 △탄력근로제 단위시간 확대 법안 △최저임금 결정구조 개편 법안 △체육계 성폭력ㆍ폭력 근절 법안 △'임세원법' △'유치원 3법' 등 민생 법안이 산적한 데 정작 의원들은 '프레임' 짜느라 관심이 없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