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태평양 섬나라들' 첫 韓초청…부산엑스포 총력전
[the300]
박종진 l 2023.05.25 16:19
![]() |
[히로시마=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히로시마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G7 회원국 및 초청국 정상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일본 외무성 제공) 2023.05.20. *재판매 및 DB 금지 |
'2023 한-태도국(태평양도서국) 정상회의'가 '공동번영을 향한 항해: 푸른 태평양 협력 강화'를 주제로 이달 29일부터 30일 양일간 개최된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대면 다자 정상회의다. 글로벌 중추국가를 지향하는 나라답게 독자적인 인도태평양 전략 이행을 본격화하는 동시에 2030 부산엑스포(세계박람회) 유치전에도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은 25일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 정상 회의에 태평양도서국포럼(PIF: Pacific Islands Forum) 18개 회원국(프랑스 자치령 포함) 정상과 PIF 사무총장을 부부 동반으로 초청했다"고 밝혔다.
PIF 18개 회원국은 △14개 태평양도서국(쿡제도, 마이크로네시아연방, 피지, 키리바시, 마셜제도, 나우루, 니우에, 팔라우, 파푸아뉴기니, 사모아, 솔로몬제도, 통가, 투발루, 바누아투) △2개 프랑스 자치령(프렌치 폴리네시아, 뉴칼레도니아) △호주, 뉴질랜드로 구성돼 있다.
이중 이날 현재까지 확정된 정상급 참석자는 쿡제도(PIF 의장국, 마크 브라운 총리), 피지(시티베니 람부카 총리), 키리바시(타네시 마아마우 대통령), 니우에(달튼 타겔라기 총리), 팔라우(수랭걸 휩스 주니어 대통령), 파푸아뉴기니(제임스 마라페 총리), 마셜제도(데이비드 카부아 대통령), 솔로몬제도(머내시 소가바레 총리), 통가(시아오시 소발레니 총리), 투발루(카우세아 나타노 총리), 바누아투(이스마엘 칼사카우 총리), 프렌치 폴리네시아(모에테 브라더슨 대통령), 뉴칼레도니아(루이 마푸 대통령), PIF 사무총장(헨리 푸나) 등이다.
정상급 인사의 참석이 어려운 나라의 경우 고위급 인사가 대신 참석할 예정이다. 다만 태도국은 기상 상황에 따라 항공편 운항이 급작스레 취소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최종 참석국은 회의가 임박한 시점에 확정될 수 있다.
정상회의 본회의는 29일 오후 열린다. 회의는 1, 2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윤 대통령 주재로 열리는 첫 세션에서는 한-태평양도서국 간 협력 현황을 점검하고 미래 협력 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두 번째 세션은 PIF 의장국(쿡제도) 주재로 진행되며 지역 정세와 국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부산 엑스포와 관련한 상호 관심사와 협력 주제도 다뤄질 전망이다.
![]() |
[히로시마=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히로시마 G7 정상회의장인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확대세션에 참석해 있다. (사진=일본 외무성 제공) 2023.05.20. *재판매 및 DB 금지 |
윤 대통령은 정상회의 본회의에 앞서 방한한 10여 개 국가 정상들과 28일 오후와 29일 오전에 걸쳐 개별 양자 회담을 계획 중이다. 29일 저녁에는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주최하는 공식 만찬이 예정됐다.
태도국 정상들은 30일에는 부산으로 이동해 부산 세계박람회의 무대가 될 북항 일대를 방문하는 부대행사에 참석한다. 또한 회의 기간 중 각국 정상 배우자를 대상으로 별도의 배우자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이번 정상회의는 한국과 태도국 간 최초의 정상회의다. 현재까지 태평양도서국과 별도로 정상회의를 개최한 국가는 미국, 일본, 프랑스, 중국, 인도이며 미국은 작년에 처음으로 회의를 개최했다.
이도운 대변인은 "한-태도국 정상회의 개최를 통해 우리 정부가 작년 발표한 인도-태평양전략의 이행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인태전략을 통해 태평양도서국이 당면한 기후 위기를 인류가 함께 대응해야 할 국제사회의 공동 과제로 인식하고 태평양도서국에 대한 관여와 기여를 확대할 것임을 명시한 바 있다"고 밝혔다.
이어 "또한 이번 정상회의에서 태도국에 대한 적극적인 기여 의지를 표명함으로써 외교 지평을 태평양으로 확대하고 우리의 책임있는 기여 외교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the300,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