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숙인 北 2단 로켓 엔진…건져낸 원통엔 '점검문13' 빨간 글자

[the300]

김지훈 l 2023.05.31 15:17
서해 어청도에서 북서쪽 200여km 바다에 추락한 북한 우주 발사체 잔해 추정 부유물. /사진제공=합동참모본부

북한이 31일 발사한 1호 군사정찰위성인 자칭 '만리경-1호'를 탑재한 로켓이 비정상적으로 날다가 서해 어청도에서 북서쪽 200여km 바다에 추락했다.

북한 측 발표에 따르면 로켓의 1단 분리까지는 정상 작동했지만 2단 분리에서 기술적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이번 발사에 실패했음을 인정한 가운데 우리 군은 북한 발사체가 추락한 해역에서 '점검문 13', '기구조립'이라는 붉은 글자가 새겨진 발사체 잔해로 추정되는 원통형 물체를 발사 1시간여 만에 찾아냈다. 학계 일각에선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2호를 빠르면 2주 안에 발사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北 주장 우주발사체 동창리서 발사



서해 어청도에서 북서쪽 200여km 바다에 추락한 북한 우주 발사체 잔해 추정 부유물. /사진제공=합동참모본부

합참은 이날 "6시29분쯤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방향으로 발사된 '북 주장 우주발사체' 1발을 포착했다"며 발사체 항적에 대해 "백령도 서쪽 먼바다 상공을 통과해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 비정상적 비행으로 낙하했다"고 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자 보도에서 "6시27분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예정됐던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케트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다"며 "'천리마-1'형은 정상비행하던중 1계단 분리후 2계단 발동기의 시동비정상으로 하여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조선서해에 추락했다"고 했다.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명목의 발사체를 쏜 건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이다.

통신은 "국가우주개발국 대변인은 위성운반로케트 '천리마-1'형에 도입된 신형발동기체계의 믿음성과 안정성이 떨어지고 사용된 연료의 특성이 불안정한데 사고의 원인이 있는것으로 보고 해당 과학자,기술자,전문가들이 구체적인 원인해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고 했다.

통신은 "국가우주개발국은 위성발사에서 나타난 엄중한 결함을 구체적으로 조사해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기술적대책을 시급히 강구하며 여러가지 부분시험들을 거쳐 가급적으로 빠른 기간내에 제2차 발사를 단행할것"이라고 했다.

합참 관계자는 "새로운 발사체와 위성체를 이름까지 이야기하면서 공개를 했는데 조금 더 추적분석하면서 정확한 팩트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합참이 통상적인 '탄도미사일'이라는 표현 대신 '우주 발사체'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유에 대해서는 "탄두가 달려 있어야 미사일"이라며 "동창리에서 쐈으니 우주 발사체의 가능성이 높아 그렇게 표현을 한 것"이라고 했다.



2단 로켓 엔진 추력 부족으로 떨어진듯


서해 어청도에서 북서쪽 200여km 바다에 추락한 북한 우주 발사체 잔해 추정 부유물. /사진제공=합동참모본부

장영근 항공대 교수(한국국가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는 조선중앙통신 보도와 관련해 " 1단 엔진은 정상작동 및 단 분리를 수행했고 2단 엔진의 비정상 시동으로 인해 점화 및 연소 실패로 추진력을 얻지 못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장 교수는 "이로 인해 1단 추진체와 위성발사체 동체(2·3단 추진체 및 탑재 위성 포함)가 모두 예상낙하지점 인근에 추락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2단 로켓 엔진이 추력을 얻지 못해 킥 턴(Kick Turn·발사 방위각 전환을 의미함)을 통한 방향 전환도 못한 상태에서, 1단 엔진의 관성으로 1단의 비행방향으로 추락했을 것"이라고 했다.

장 교수는 북한이 실패 원인으로 '신형 엔진' '연료 특성'을 거론한 것에 대해 "새로운 엔진의 연소 특성이 불안정하고 신뢰성을 담보하지 못할 정도의 충분한 지상연소시험 등을 수행하지 못한 결과로 추정된다"며 "보통 우방국에서 이러한 사고나 실패가 발생하면 모든 근원적인 관련 원인을 조사하고 보완하기 위해 최소 6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겠지만, 북한의 경우는 최소의 고장 원인 조사를 통해 큰 문제를 확인하고 수정 후 바로 발사할 개연성이 높아 수주 내 2차 발사도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합참은 북한이 2012년 발사한 인공위성인 이른바 '광명성 3호'와 '광명성 3호 2호기'간 시차가 8개월 나는 점을 감안할 때 북한 당국이 예고처럼 곧바로 후속 로켓을 쏠지 단언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합참 관계자는 광명성 3호에 대해 "과거 2012년 4월13일에 발사하고는 실패하면서 실패에 대해서 인정하는 보도를 했다"며 후속 발사체인 광명성 3호 2호기에 대해 그러고 나서 8개월 뒤에 2012년12월12일 발사했다. 기간은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놔야 되겠지만 과거 사례를 참고했으면 한다"고 했다.

한편 서울시는 이날 오전 6시32분 경계경보를 발령했다. 서울시는 관련 문자를 통해 "국민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하지만 행정안전부가 7시3분 "오발령 사항이었다"며 이를 철회하는 상황이 벌어져 시민들이 혼선을 빚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경계경보 위급재난문자 발령과 관련해 고개 숙여 사과하면서도 "오발령은 아니었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