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해운대 앞바다서 사라진 美 폭격기…70년만에 韓美 수중조사
[the300]
김지훈 l 2023.09.22 15:39
![]()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과 미 국방성 전쟁포로· 실종자 확인국(DPAA)이 부산 해운대 앞바다 아래에서 6·25전쟁 시기 실종된 미군 B-26 폭격기와 조종사의 행방을 찾고 있다.
6·25전쟁 시기 추락한 미군 B-26 폭격기 잔해와 조종사의 유해를 확보하기 위한 공동 수중 조사를 벌이는 것이다. 한·미 양국 군이 공동으로 바다에서 수중조사를 하는 것은 처음이다.
지난 7일부터 오는 27일까지 부산광역시 해운대 일대에서 진행되는 이번 공동 수중조사는 지난해 미국 측의 요청에 따라 사전 현장 답사 등을 거쳐 시작됐다. 미 DPAA는 잠수사·수중고고학자 등 총 13명의 조사인력을 파견했으며 국유단도 이를 지원하기 위해 조사 전문인력을 투입했다.
![]() |
조사 대상은 1953년 1월 부산 K9 비행장에서 임무 수행을 위해 이륙 직후 해상에 추락한 미 제5공군 소속 B-26 폭격기 1대와 조종사 유해다. 미 DPAA는 당시 미군 3명이 실종된 것으로 파악 중이다.
이번 조사는 연안 면적 약 20㎢ 해역에서 수중탐지 장비로 탐색한 이후 특이 물체가 확인되면 잠수사와 원격조종탐지기로 해저면의 전투기 잔해 등을 추가로 확인하는 절차로 진행된다.
국유단과 미 DPAA뿐만 아니라 우리 해군의 해상전력과 해난구조전대 잠수사 10명, 주한미해군 잠수사 7명도 함께 참여했다.
![]() |
조사해역에는 해군작전사령부와 주한미해군사의 지원을 받아 선체 고정형 소나를 탑재한 소해함, 특수 장비인 원격 조종 탐사기와 감압 체임버, 소나 등을 구비한 구조지원정, 미측 특수장비인 사이드 스캔 소나 및 자기 탐지기를 탑재한 고속단정 등이 투입됐다.
비교적 수심이 깊은 먼바다에서는 소해함 선체에 장착된 수중음파탐지기를 이용해 해저 형상을 탐색했다.
한·미 수중조사팀은 고속단정에 탑승해 사이드 스캔 소나와 자기 탐지기를 끌고 다니며 해운대 인근 수심 약 5~25m의 바닥을 훑었다.
![]() |
한·미 공동 수중조사팀이 소나(SONAR)에서 탐지된 데이터를 분석 및 토의하고 있다. /사진제공=국방부 |
이번 공동 수중조사에 참여한 미 DPAA 소속 패트릭 앤더슨 대위는 "국가를 위해 희생한 분들에 대해서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신념으로 수중조사에 참여하고 있다"며 "실종자 소재를 확인할 수 있는 단 1%의 가능성이 있다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은 "한·미 동맹 70주년을 맞이해 추진된 이번 공동 수중조사를 계기로 양국의 유해발굴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수 있었다"며 "남은 조사 기간에도 우리의 자유와 번영을 수호한 미군 실종자 소재를 찾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the300,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스트클릭
이 시간 최신뉴스
- [속보]조태용 "한미일, 전략적 협력 범위 매우 넓고 깊다 확인"
- "尹대통령이라서 가능"…한미일 안보수장들, 尹 관저서 만찬
- 한일·한미 연쇄 안보실장 회의…"전략동맹 그 어느 때보다 강력"
- 민주, 노란봉투법 재투표 부결에 "비정한 대통령, 야박한 여당"
- 한일 안보실장 회의…"국민체감 성과" 한미일 협력 고도화
- [속보]기업구조조정 촉진법 가결···찬성 215표·반대 3표·기권 8표
- [속보]'尹 거부권' 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부결 폐기···가 176표·부 114표·기권 1표
- [속보]'尹 거부권' 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안 부결 폐기···가 177표·부113표·기권 1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