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사퇴, '1라운드' 종료…당청-공천 '2라운드' 온다

[the300]새 원내대표 인선부터 난제-지도부 리더십 복원도 숙제

김성휘 기자 l 2015.07.08 17:51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에 관한 논의의 건'이 안건으로 상정된 의원총회를 마친 뒤 유 원내대표를 만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15.7.8/뉴스1

새누리당이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 이후 리더십 재편, 당청관계 재구성 등 변화의 바람 앞에 섰다.

국회법 거부권 정국의 핵심쟁점이던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는 일단락됐지만 앞으로 새누리당은 당청관계, 총선 공천을 둘러싼 당내부 역학관계, 대야당 관계 등 크게 세가지 난제가 동시에 닥칠 전망이다. 모두 지극히 민감하고 자칫 잘못 다뤘다간 이번 일 이상의 파열음이 날 사안이어서 당이 더 큰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김무성 대표 등 지도부는 일단 내부갈등을 봉합하는 데 주력할 전망이다. 공무원연금법 여야 협상 도중에 불거진 국회법 개정안 합의는 여권의 '내전'으로까지 불릴 정도로 심각한 내부갈등으로 이어졌고 이 과정은 여과없이 노출됐다. 대통령과 여당, 친박과 비박이 정면충돌한 데 이어 그동안 '순망치한'처럼 상호보완적이던 김무성 대표와 유 원내대표도 막판에 대립하고 말았다. 

김 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도 분열에 따른 여론악화를 두려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만만치 않은 난제가 기다리고 있다. 가장 시급한 건 당청관계 복원이다. 청와대와 당이 모두 수긍할 수 있는 인사로 새 원내대표를 뽑아 당정청 협의채널을 복구하는 등 전열을 재정비해야 한다.

원내대표를 최대 7일 이상 비워둘 수 없다는 당 규정에 따라 이미 자천타천 복수의 중진의원들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경선보다는 단일화 등을 거쳐 추대할 것이란 관측이 적지않다. 원내대표를 다시 경선으로 뽑아야 한다면 자칫 또 한 번의 세력대결 국면으로 흐를 수 있어 가급적 조용히 절차를 진행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이 경우 원내대표가 강한 리더십을 발휘하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경선으로 선출되는 것이 아니라 추대된다는 점, 친박·비박 모두 인정할 만한 인사는 결국 어느 쪽에서도 전폭적으로 지지하기 어렵다는 점이 그 이유다. 또 정부 후반기로 갈수록 국정 동력이 약화되고 차기 총선 공천국면으로 정국이 이동하므로 원내대표 교체'의 명분이 됐던 '여당의 국정과제 뒷받침'을 과연 이룰 수 있을지 미지수다. 

공천 갈등은 당청관계보다 더 파괴력이 큰 사안이다. 김 대표가 의욕적으로 추진해 온 완전개방형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은 야당과 입장이 달라 전면 도입하기엔 시기상조란 관측이다. 이 때문에 당 자체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에 준하는 경선을 도입하려 할 수 있지만 이 제도에 대한 찬반이 엇갈리는 데다 김 대표의 리더십도 일정부분 타격을 받아 추진력이 떨어진 상태다. 

게다가 박 대통령의 영향력이 공천 과정에 어떤 형태로, 어느 정도나 작용하느냐도 변수다. 이와 동시에 '무관'이 된 유 원내대표의 행보도 관심사다. 당분간 공개행보를 자제하더라도 앞으로 비박계의 구심점이 되면서 독자행보에 나설 경우 당내 역학관계에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 공천권 등 국회의원들의 '사활'이 걸린 문제가 '유승민 논란'에서 본 계파간 충돌과 복합적으로 얽히면 당이 걷잡을 수 없이 흔들릴 수 있단 얘기다.

야당이 새누리당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공세적으로 나올 경우도 대비해야 한다. 여야는 각종 경제 법안 처리뿐 아니라 선거구 재획정과 같은 정치적 사안도 타협해야 한다.

유 원내대표 거취를 둘러싼 여권의 포성은 일단 멈췄지만 갈등 요소가 잠복해있다는 점은 이런 난제를 풀어가는 데 최대 리스크 요인이다. 특히 수도권 의원들은 박 대통령에 대한 민심이반을 다른 지역보다 강하게 느끼고 있다. 집권여당 내부갈등이 유 원내대표의 사퇴로 일단락된 게 아니라 지금부터 시작이란 분석이다.

유 원내대표 사퇴를 반대했던 김용태 의원은 "급한대로 당청관계를 복원시켰지만 국민 입장에선 집권당의 체모(체면)는 물론 민주주의 기본전제인 삼권분립도 무너뜨렸다 비판할까 두렵다"고 지적했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