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거국내각式 '책임총리' 가닥…총리·靑실장 누구?

[the300] (종합) 총리에 김병준·김종인·손학규 거론…靑 비서실장에 권영세·현경대 등 물망

이상배 기자 l 2016.10.31 16:26

박근혜 대통령/ 사진=청와대


박근혜 대통령이 '거국내각'의 취지를 반영한 '책임총리제' 도입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국무총리 교체와 공석인 대통령 비서실장, 정책조정수석, 정무수석 인선은 이르면 이번주 중 단행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정국 수습의 총대를 멜 신임 총리, 대통령 비서실장, 정책조정·정무수석에 누가 발탁될 지 관심이 쏠린다.

◇"朴대통령, 거국내각 취지 수용"…김병준 총리 거론

청와대 핵심 참모는 31일 "새누리당이 거국내각 구성을 촉구한 만큼 박 대통령으로선 거국내각의 취지는 수용할 것"이라면서도 "거국내각의 형식을 놓고 이견이 많은 만큼 실질적인 면에서 거국내각의 성격을 띤 책임총리 방식으로 갈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거국내각에 대해 여야 간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거국내각 구성을 추진할 경우 정국혼란만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은 거국내각의 취지를 반영한 책임총리를 임명한 뒤 책임총리와의 협의를 거쳐 대폭적인 개각을 단행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다른 청와대 참모는 "새로운 총리에게 국무위원 임명제청권 등의 권한을 보장하기 위해선 본격적인 개각에 앞서 총리부터 지명해야 한다"며 "청와대에선 대통령 비서실장 임명이 가장 급한 만큼 비서실장 인선이 최우선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에게 거국내각 구성을 건의하면서 총리 후보로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정책실장과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지낸 김병준 국민대 교수를 우선 순위로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운영 경험을 가진데다 이념적으로 한쪽에 치우지지 않은 개혁적 색채의 인사라는 점이 높이 평가됐다.

이와 함께 야권 인사임에도 중립적 성향으로 분류되는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상임고문도 유력하게 거론된다. 둘 다 개헌을 적극 지지한다는 점에서 박 대통령의 제안한 개헌의 불씨를 되살릴 수 있다는 기대도 깔려 있다.

이명박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낸 김황식 전 총리와 정운찬 전 총리도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물망에 오르내린다. 국민대통합 차원에서 호남 출신인 김황식 전 총리, 진념 전 경제부총리,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등을 발탁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6선의 이인제 전 의원을 비롯해 고건 전 총리, 한덕수 전 총리, 이홍구 전 총리,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 등도 와일드카드로 꼽힌다.

국정쇄신 차원에서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교체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경우 후임으로는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거명된다.

◇靑 비서실장, 권영세·현경대 물망

한편 신임 대통령 비서실장 후보로는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캠프에서 종합상황실장으로 활약한 권영세 전 주중대사가 거론되는 가운데 이장무 전 서울대 총장, 정갑영 전 연세대 총장 등 학계 인사들도 하마평에 올라있다. 친박(친 박근혜)계 원로자문그룹 '7인회'의 멤버인 현경대 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비롯해 허남식 전 부산시장, 최외출 영남대 교수 등도 거명된다. 총리 후보군 가운데 탈락한 인사가 비서실장으로 전격 발탁될 가능성도 있다. 청와대 참모는 "비서실장 후보자들에게 의사를 타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안종범 정책조정수석의 후임으론 김준경 KDI(한국개발연구원) 원장 등이 거론된다. 박 대통령의 선친인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9년3개월을 재직해 최장수 비서실장 기록을 세운 김정렴 전 비서실장의 아들이다. 2013년초 대통령 인수위원회에서 정부조직 개편 작업을 주도했던 옥동석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도 물망에 올라있다. 업무의 연속성을 고려해 내부 인사인 강석훈 경제수석이 정책조정수석을 맡는 방안도 가능하다.

정무수석에는 이성헌 전 의원을 비롯해 지난 4월 20대 총선에서 낙선한 친박계 의원 출신들이 유력하다. 그러나 적임자가 없을 경우 박요찬 정무비서관이 정무수석으로 승진 임명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