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의 두 번째 국빈은 '실크로드' 중심 우즈벡의 대통령

[the300]신북방정책 최상단, 지리적 요충지…한류 등 소프트파워 가능성도

최경민 기자 l 2017.11.23 14:59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23일 오전 서울 중구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열린 '한-우즈벡 비즈니스포럼'에서 참석자들이 샤프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의 기조연설을 경청 하고 있다. 2017.11.23. bjk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재인 대통령의 두 번째 '국빈'은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첫 번째 국빈이었다. 우즈베키스탄은 같은 아시아라는 점에서 가깝다고 할 수 있지만, 아직 심리적으로 멀게 느껴지는 국가임이 분명하다. 이같은 국가의 정상을 문 대통령이 두 번째 국빈으로 맞이한 것이다.

이번 국빈 초청은 '신북방정책'의 추진 일환이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주변 4강 외교'에 국한되면 안 된다는 지론을 갖고 있다. 러시아 연해주 지역부터 중앙아시아 국가들까지 포괄하는 신북방정책,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부터 인도까지 이어지는 신남방정책을 연계해 'J' 모양의 커브를 축으로 하는 다자외교 구축을 구상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이 'J커브'의 북쪽 상단에 위치한 국가다. 러시아 연해주부터 우즈베키스탄까지 신북방정책의 선을 잇는다는 의미가 있다. 오는 28일 마이쓰리팔라 시리세나 스리랑카 대통령이 세 번째 국빈 방한을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신남방정책의 선을 서남아시아까지 잇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이같이 북방과 남방을 연결하는 'J커브' 구상은 내년 초로 추진되고 있는 문 대통령의 인도 방문에 더욱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한-우즈베키스탄 비즈니스 포럼에 축전을 보내 "한반도를 넘어 유라시아 대륙의 평화와 번영을 목표로 하는 ‘신북방정책’을 펼치려 한다"며 "그 일환으로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위한 북방경제협력위원회를 설립해 산업, 교통, 에너지 등 다양한 협력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중심에 중앙아시아 핵심국가인 우즈베키스탄이 있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청와대는 우즈베키스탄의 지정학적 의미가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를 넘나드는 위치의 중간에 있는 국가이기 때문이다. 이 지역에는 원유, 가스 등 천연자원이 풍부하기도 하다.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를 천명한 중국은 이미 이 지역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5월 우즈베키스탄에 1830만 달러 규모의 원조를 약속했다.

이같이 투자 가치가 충분한 지역인 만큼, 진출을 더 늦추면 안 된다는 판단이다. 신남방정책의 추진에 있어 가장 걸림돌이 되는 것이 '후발주자'라는 점이었다. 아세안에 이미 70년대부터 진출한 일본이 법과 제도를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세팅해 놓은 것을 변화시키는 것이 신남방정책의 숙제가 된 상황이다. 중국이 선수를 쳐 중앙아시아에서 '아세안의 일본'과 같은 위치가 될 경우, 신북방정책 추진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청와대는 중앙아시아 진출이 아직 늦지 않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다자외교에서 가장 앞세우는 이른바 '소프트파워' 면에서도 경쟁력이 있다고 보는 중이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 당시, 신남방정책 전략의 핵심이 소프트파워적 접근에 있다고 설명했었다. 물량의 중국·일본과 달리 산업화와 민주화를 모두 달성한 레짐의 우위, 한류를 위시한 문화적 우위를 앞세워 아세안에 접근한다는 전략이다. 같은 전략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에 접목해 신북방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도가 분명하다.

우즈베키스탄만 해도 18만명의 고려인이 살고 있는 국가다. 전체 구 소련 지역 고려인은 5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문화적 괴리감을 좁힐 수 있는 여지가 크다. 실제로 이 지역에서는 한국 드라마 등 한류의 물결이 거센 상황이다. 드라마 '주몽', '대장금'을 비롯해 K-팝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소프트파워를 통합 접근이 용이한 지역이다.

우즈베키스탄과는 올해가 수교 25주년이어서 협력을 더욱 증진시킬 적기라는 평가다. 청와대 관계자는 "수교 25주년을 맞는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성과를 평가하고, 실질적 협력증진 및 미래지향적 협력관계 강화 방안을 논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