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정치학 전공인데 투표 안 했다"는 30대, 왜?

[the300]

한정수 l 2024.04.15 05:50
"나 이번에 투표 안 했어. 선거권자된 뒤 처음이야."

4.10 총선 날 저녁, 30대인 친구가 전화를 걸어와 한 말이다. 그는 대학에서 정치학과 행정학을 공부했다. 평소 현역 의원들의 선수(選數)를 훤히 꿰고 있을 만큼 정치에 관심이 많다. 그런 그가 왜 투표를 포기했을까.

"아무리 살펴봐도 표를 줄 수가 없겠더라."

친구는 지지하는 정당 후보의 경력과 공약은 마음에 들지 않고 그렇다고 상대 정당에 표를 주기는 더 싫었다고 했다. 그래도 투표는 했어야 하지 않느냐고 묻자 그는 최근 낳은 아들 얘기를 꺼냈다.

그는 출산 후 걱정이 많아졌다고 했다. 이 정도 벌이로 계속 아이를 키워나갈 수 있을지, 대출은 어떻게 갚아야 할지 막막하다고 했다. 그는 "아들이 살아가야 할 미래를 책임질 대표를 뽑는데 비전을 제시하는 사람이 보이지 않아 고민 끝에 포기한 것"이라고 했다.

정치에 등을 돌린 젊은이들이 적지 않다. 이번 총선에서 사전투표를 한 이들 가운데 20대는 12.9%, 30대는 11.3%에 불과했다. 50대는 22.5%, 60대는 22.7%를 차지했다. 아직 본투표의 연령대별 비중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2030의 총 투표율은 50% 안팎에 그친다는 관측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젊은이들은 정치에 무관심하다지만 관심이 많던 이들까지 투표를 안 하게 된 건 왜일까. 전문가들은 이번 총선을 '청년이 실종된 선거'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피부에 와닿는 청년 정책이 잘 보이지 않았다. 여야는 '정권 심판', '86 운동권 청산' 등 청년 세대가 별 관심 없을 주제들만 들먹이며 싸워댔다.

정치권에서 2030세대에 공을 들이지 않으니 젊은이들이 투표장에 나가지 않고, 젊은이들이 투표율이 낮으니 정치권도 청년에 별 관심을 두지 않는 악순환이다. 이번 선거에서 참패한 여당이 청년 표심을 공략했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것이라 말하는 전문가도 적지 않다.

평균 연령이 34.8세로 전국 지역구 중 가장 젊은 경기 화성시을은 이번 총선에서 여당도, 더불어민주당도 아닌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를 선택했다. 이유는 많겠지만 과학고 유치 등 실리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공약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캐스팅보터 2030을 사로잡는 게 어쩌면 가장 쉬운 선거 승리 전략 아닐까.

한정수 기자 기자수첩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