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당대표 1년 성적표…B

[the300][런치리포트-김무성 1년①]종합평가

구경민 기자 l 2015.07.13 14:33
그래픽=이승현 디자이너.



"스스로 자기 인생에 만족할 사람이 어디 있느냐." 취임 1주년을 맞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밝힌 소회다. 
김 대표는 지난해 7월14일 전당대회에서 집권여당의 수장이 된 후 숨가쁜 1년을 보냈다. 
 
앞서 지난해 10월 취임 100일을 맞았을 당시 그는 "낙제점은 면했다"고 스스로 평가했다. 학점으로 따지면 'C'나 'D' 정도라고 몸을 낮춘 것이다. '취임 100일'은 제대로 평가를 받기 이른 시점이었다. 1년이 지난 현재, 그에 대한 평가는 어느 정도 일까. 김대표와 함께 일을 해온 새누리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정치권 인사들의 평을 종합해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이 평점을 매겨봤다.
 
 ◇ 선거, 소통, 이미지...A 학점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여러 악재 속에서도 김무성호(號)가 대체로 무난한 1년을 보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단연 두각을 나타낸 성과는 두 차례 재보선을 완승으로 이끌었다는 점이다. "당은 선거를 위해 존재한다"고 강조해온 그답게 선거 승리를 위해 모든 것을 던진 결과로 분석된다.

당 대표가 되고난 직후 치러진 7·30 재보궐 선거에서 그는 흰색 반바지에 빨간 카우보이모자를 쓰고 전국을 돌며 율동을 선보이는 파격도 마다하지 않았다. '보수 혁신'과 '경제 살리기'를 내걸고 뛴 결과 15개 지역중 새누리당이 11개 지역을 확보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덕분에 김 대표는 명실상부한 당 대표로서 장악력을 발휘할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을 마련했다. 

성완종 사태 파문으로 완패 우려감이 증폭된 가운데 치러진 올해 4·29 재보궐선거에서 그는 앞치마를 두르고 고무장갑을 꼈다. 야당의 '부정부패 정권심판론'에 맞서 경제살림꾼 '새줌마(새누리당 아줌마)' 컨셉을 내세워 3대 1이라는 압승을 거뒀다. 두 번의 선거 승리 끝에 김 대표는 '선거의 황제'라는 타이틀을 얻게 됐다. 이후 김 대표는 명실상부한 여권의 차기 대권주자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

 
김 대표가 지난 1년 간 공무원노조와의 '끝장토론' 등을 통해 공무원연금 개혁을 이끈 점도 주요 성과로 꼽힌다. '최초의 사회적 대타협'을 통한 개혁이라는 평가도 얻었다. 

'통합 행보'도 눈길을 끌었다. 여당 대표로서는 처음으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했다가 유족에게 '면박'을 당하기도 했다. 5·18 광주민주화 운동 기념식에서 '물세례' 봉변도 당했지만 "더웠는데 시원하고 좋았다"며 통 큰 면모를 보였다. 청년층과 스킨십을 이어가며 보수 정당의 이념을 전하고 외연을 확장한 노력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당청관계 'C'…화합, 혁신 등  남겨진 숙제가 더 많아
 
김대표 측에서는 그의 별명 '무대'를 '무성 대장'이라고 풀이한다. 그러나 '무대'의 면모는 유독 박 대통령 앞에선 자취를 감췄다.

김 대표는 최근 벌어진 '유승민 정국'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청와대와 친박계에 끌려간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으면서 그동안 보여준 통 큰 행보로 쌓은 이미지를 까먹었다.

지난해 상하이발 '개헌 봇물' 발언을 꺼낸 다음날 박 대통령에게 사과한 모습과 함께 김 대표가 주창한 수평적 당·청관계를 극복하지 못했다는 평가다. 

김 대표의 1년은 전반적으로 순항했으나 최근 벌어진 '유승민 정국'에서 비화된 당 내홍이나 삐걱거리는 당·청관계 복원은 여전히 숙제로 남았다. 

'보수 혁신'을 기치로 내건 당 쇄신 드라이브도 첫발을 뗀 선에 머물고 있다. 김 대표는 보수혁신위원회를 구성,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전략공천 폐지 △체포동의안 등 관련 국회의원 특권내려놓기 등의 안을 내놓으며 일면 성과를 거둔다.

하지만 오픈프라이머리를 골자로 한 혁신위 안을 의원총회에서 통과시키긴 했으나 현실화를 위한 당헌당규 개정 작업을 완수하지 못한 것은 아쉬운 점이다. 20대 총선을 앞두고 미완의 정책이 되지 않도록 마무리 짓는 것은 김 대표의 과제다.

김 대표의 진짜 성패는 내년 4월 치러지는 '20대 총선' 성적표에 따라 갈린다. 새 원내대표를 선출하는 14일 이후 발표될 당 사무총장 등 '2기 체제' 당직 인선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