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 재산공개]국회의원 평균 19.6억, 1위 안철수 1629억

[the300]안랩 주가상승…김세연 1551억, 윤상현 감소폭 최대

김성휘 기자 l 2016.03.25 09:00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대표가 24일 오후 제주시 제주상공회의소에서 국민의당 제주도당 당원들이 모인 가운데 ‘제주선언’ 발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2016.03.24/뉴스1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재산 1629억2792만원을 신고, 현역 국회의원 290명 가운데 최고 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4일 국회의원 290명의 지난해(2015년) 재산변동 신고 내역을 공개한 결과다.

2위는 1551억원을 신고한 김세연 새누리당 의원으로 지난해 1위에서 안 대표(당시 2위)와 자리를 바꿨다. 3위는 전년과 변함없이 박덕흠 새누리당 의원(539억원)이 차지했다. 

1~3위 세 의원을 뺀 국회의원 재산 평균은 19억6000만원이다. 500억원이 넘는 '거부'는 평균 계산에서 제외했다. 2013년 약 18억700만원, 2014년 19억2700만원에서 해마다 늘었다. 290명 재산의 중간값은 11억8200만원이다.

4~10위는 각각 윤상현(171억원) 강석호(153억원) 김무성(138억원) 정의화(116억원) 심윤조(94억원) 장윤석(83억원) 장병완(82억원) 의원이 차지했다. 이처럼 상위 10걸에는 새누리당 6명, 국민의당 2명, 무소속 2명이 포진했다. 정의화 국회의장, 윤상현 의원이 새누리당 출신이므로 사실상 여야가 8대 2이다.

정당별로 안철수 대표는 국민의당에서, 김세연 의원은 새누리당에서 재산 최고액을 기록했다. 안철수, 장병완 의원이 국민의당으로 바뀌면서 더불어민주당 최고 부자 자리는 전체 28위인 홍종학 의원(49억5000만원)이 차지했다.

안 의원 재산신고액은 롤러코스터를 탔다. 2년 전인 2014년 1569억원이었으나 안랩 유가증권(주식) 50만주, 약 789억원어치를 공익재단에 기부하는 등 지난해엔 보유재산이 반토막이 됐다. 그렇게 줄어든 787억원은 올해 1629억원으로 1년새 842억원이 늘어났다. 그가 여전히 186만주를 보유한 안랩의 주가상승 때문이다. 안 의원은 재산 증가액수도 국회 1위다.
새누리당 김세연 의원이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5.6.19/뉴스1

김세연 의원은 1443억원에서 1551억원으로 108억원 늘었다. 그는 부산의 대표기업 동일고무벨트와 DRB동일의 대주주다. 박덕흠 의원은 건설업체 오너로 대한전문건설협회 중앙회장을 지냈다.

신고재산이 마이너스인 의원도 네 명이다. 290명 중 거꾸로 1위 즉 최하위는 지난해 황인자 의원에서 진선미 의원(-14억원)으로 바뀌었다. 지난해 3억1000만원의 진선미 의원은 올해 배우자의 사업상 부채가 함께 집계되면서 신고액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황인자 의원 신고재산은 여전히 마이너스 3억원으로 끝에서 두 번째다. 끝에서 3위는 김한표 새누리당 의원(-3500만원), 4위는 무소속 강동원 의원(-1400억원)이다.

하위 5위부터 10위까지는 무소속 안상수(1억2000만원) 더민주의 박홍근(1억5600만원) 박수현(1600만원) 신정훈(2150만원)과 새누리당 윤영석(2200만원) 이명수(2280만원) 의원 순이다. 재산 하위 10명은 새누리당 4명, 더민주 4명, 무소속 2명이다.

소속의원 1인당 평균액은 새누리당(146명) 38억6793만원, 더민주(102명) 13억355만원이다. 국민의당은 안 대표 포함시 평균 100억6660만원이지만 안 대표를 제외하면 20억2127만원으로 여야 양당의 중간 수준이다. 정의당은 정당별 평균액 4억3000여만원으로 가장 낮지만 소속의원 5명 가운데 마이너스 신고는 없었다.

전년비 재산이 늘어난 의원은 전체 290명 중 189명으로 65.2%, 재산이 줄어든 의원은 101명으로 34.8%였다. 가장 많은 재산이 줄어든 국회의원은 새누리당을 탈당한 무소속 윤상현 의원이다. 197억원이었던 그의 재산은 25억원 줄어 172억원이됐다.

이번 재산 공개는 공직자윤리법 제10조에 따라 국회 재적의원 293명 중 국무위원 겸직자 (김희정 여성가족부장관, 최경환 기획재정부장관, 황우여 교육부장관) 3인 제외한 290명이 대상이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