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수령될 12일 촛불집회…청·여·야 모두 촉각

[the300]'퇴진' '2선 후퇴' '책임총리' 사이에서 정체…집회 열기 규모따라 정국 향방 좌우될 듯

진상현 기자 l 2016.11.11 17:07

 

10일 저녁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하야 촉구 촛불집회'에서 시민들이 촛불과 손피켓을 들고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 2016.11.10/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역대 최대 규모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는 12일 서울 도심 촛불집회에 청와대와 여야 정치권의 이목이 쏠려있다. 이날 시위 규모나 여파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의 거취, 야당의 퇴진 공세 수위, 여당 내부의 쇄신 향방 등이 전반적으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11일 국회와 경찰 등에 따르면 이날 집회는 주최측 예상 최대 100만 명, 경찰 예상 16만~17만 명이 모일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대로라면 2000년대 들어 개최된 집회 중 최대 규모다. 지난 2008년 6월10일 광우병 촛불집회 때가 주최측 추산 70만명(경찰추산 8만명)이었다. 1987년 서울 광장에서 열린 고 이한열 열사 노제 때는 경찰 집계로 15만 명, 주최 측 집계로 100만 명으로 기록된다.

야당도 이번 집회에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추미애 대표 등 지도부가 모두 집회에 참석하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다. 전날 ‘박 대통령 퇴진 요구’로 당론을 확정한 국민의당도 지도부와 소속 의원들 대부분 집회에 참여한다. 야당은 국민들의 시위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지역 조직도 적극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등 야권 대선 후보들도 대부분 촛불 행진에 참여한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야권이 이처럼 집회에 적극적인 것은 이번 시위가 정국 전반의 흐름을 좌우할 분수령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순실 국정 농단 사건으로 들끓는 민심이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지만 박 대통령의 책임총리 제안 이후 야권은 ‘퇴진’과 ‘2선 후퇴’ 요구 사이에서 머뭇거리는 모습이다. 새누리당도 비박(비 박근혜)계를 중심으로 한 지도부 사퇴, 당의 전면적인 쇄신 요구가 친박(친 박근헤)계의 버티기에 쉽사리 세를 불리지 못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미국 대통령 당선도 변수가 되고 있다. 예상 밖의 트럼프 당선에 국정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숨죽였던 친박계도 국정 차질을 우려하며 다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런 힘의 균형은 이번 촛불 집회를 기점으로 깨질 공산이 크다. ‘대통령 퇴진’ 등 들끓는 민심이 재차 확인될 경우 멈칫거리던 야당의 압박 공세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야당이 추천하는 책임총리를 통해 난국을 돌파해보려는 청와대와 친박계의 시도도 크게 위축될 수 밖에 없다. 재창당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는 새누리당 비박계도 친박계 지도부를 무너뜨리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비박계들은 당 소속위원과 원외당협위원장, 당 소속 시·도지사 등이 참석해 최순실 게이트와 당 지도부 거취문제 등을 논의하는 비상시국회의를 이번 집회 다음날인 13일로 잡아두고 있다.


집회 규모나 열기가 예상보다 덜할 경우에는 '2선 후퇴'나 '퇴진' 이외의 방식으로 난국을 돌파하려는 청와대외 친박계의 시도가 힘을 받을 수 있다. 최소 수십만명이 모이는 대규모 집회인 만큼 돌발 변수도 우려된다. 시위 도중 폭력이나 과잉진압 등이 불거질 경우에는 정국 흐름이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도 있다.


여권 관계자는 "여야 모두 12일 집회만 바라보고 있다"면서 "그 전까지는 특별한 움직임이 나오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