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구수정' 거품 빼고, 전문성 더하고…국회의원 평가 새 기준

[the300][대한민국 비례대표 보고서-(상) 비례대표 의원 평가⑦]어떻게 평가했나

진상현 기자, 더모아 이대호 연구원 l 2015.11.12 05:57
 "자구 수정 정도의 법안이 부지기수다. 법안 숫자만 따져선 안된다" "정량적 평가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동안 국회의원들의 의정활동에 대한 평가가 있을 때마다 단골메뉴처럼 나왔던 지적들이다. 법안의 내용을 무시한 채 총량 기준으로 접근하다 보니 질보다 양에 치우친 평가가 될 수 밖에 없었다. 또 법안 중심의 정량 평가만으로는 국정감사나 법안소위에서의 활약상 등 법안에 다 담기지 않는 의정활동 전반을 평가하는데 역부족이었다. 

 머니투데이 the300(더300)이 의제와전략그룹 더모아와 함께 지난 8월부터 준비해온 '19대 비례대표 의원 의정활동 평가' 작업은 이런 기존 평가의 한계를 뛰어넘는데 초점을 맞췄다. 


 
우선 법안 별 질적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법안 유형을 세분화해 가점, 감점 유형을 만들었다. 가령 법안을 만드는 과정에서 노력이 더 들어가는 제정안 또는 전부개정안을 통과시킨 경우 개정안 통과에 비해 가점을 부여했다. 법정형 정비나 금치산자, 한정치산자 표현 삭제 등 단순한 자구 수정 법안은 입법 성과(발의 점수, 통과 점수)에서 아예 제외했다. 

 정책 의사 결정권자인 국회의원들의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판단아래 전문분야와 유관한 법안에 대해서도 가점을 부여했으며 더300이 올해 1월과 7월 두 차례 실시한 최우수법률상 수상 법안에도 가점을 줬다. 법안 간 질적 차이를 정량 평가에 최대한 반영하기 위한 장치들이다.

 특히 전문성 반영을 위해 비례대표의원들이 발의한 2600여개 법안의 전문 영역 관련성을 일일이 분석했다.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비례대표 의원 설문조사(응답률 76%)를 실시해 각 의원들의 전문분야를 조사했고, 응답을 하지 않은 경우 각 의원들이 비례대표에 공천된 배경이나 경력 등을 참조했다. 이렇게 전문 분야를 구분한 뒤 각 법안이 의원들의 전문분야와 관련이 돼 있는지를 분석, 판단했다. 관련 분야에 대한 판단은 3인이 중복해서 평가하도록 해 신뢰도를 더 높였다. 

 이에 더해 전문가들의 정성평가를 추가로 반영했다. 아무리 정밀하게 하더라도 정량적 평가만으로는 보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설문을 통해 비례대표 의원들 간의 상호 추천 횟수를 반영했고, 의원들의 상임위 활동을 누구보다 잘아는 상임위원회 별 보좌진 2인과 상임위를 현장에서 밀착마크 하고 있는 더300 상임위 전담 기자들의 평가도 다면평가 항목으로 반영했다. 보좌진, 기자 평가는 A, B, C 등급으로 이뤄졌고 평가는 상임위원회 별로 이뤄졌다. A등급은 상위 3분의 1, B등급 중위 3분의 1, C등급 하위 3분의 1로 구분됐다. 아울러 총점이 높더라도 정성평가인 다면평가에서 하위 20%에 속할 경우 '톱10'에서 제외해 정량평가에 대한 보완적 기능을 강화했다. 

 이렇게 기획 단계부터 설문, 법안 및 통계 분석, 다면 평가에 이르기까지 이번 평가에 소요된 총 기간은 3개월 가량이다. 한계도 있었다. 의정활동의 중요한 축인 국정감사나 토론회, 공청회 입법 활동의 부수 활동에 대해선 별도의 평가를 하지 못하고 다면평가를 통해 간접 반영하는데 그쳤다. 이런 한계들은 다음 평가 등을 통해 점차적으로 해소해나갈 예정이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