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마지막 국감 첫날, '대장동 폭탄'에 상임위 곳곳서 충돌
[the300]
최태범 l 2021.10.01 23:33
![]() |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2021년 국정감사가 시작된 1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법원(법원행정처), 사법연수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이재명 판교대장동게이트 특검 수용하라' 문구를 붙이고 있다. 2021.10.01. |
국회 국정감사 첫날인 1일 상임위원회 곳곳에서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놓고 여아 간 강대강 대치가 이어졌다.
이날 국감은 법제사법위원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정무위원회, 교육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등 7곳에서 열렸다.
7개 국감은 여야의 대장동 관련 팻말을 이유로 국감이 중지되는 등 파행을 빚었고 우여곡절 끝에 진행된 오후 국감 때는 대장동 관련 증인 신청을 두고 여야 간 고성이 오갔다.
![]() |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국무조정실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대장동 게이트' 관련 피켓을 붙이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1.10.01. |
국민의힘은 모든 상임위 국감장에서 '특검을 거부하는 자가 범인', '이재명 판교 대장동 게이트 특검 수용하라'는 팻말을 내세웠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항의하는 과정에서 오전 한때 7개 상임위에서 모두 국감이 중단되는 등 파행을 빚었다.
팻말뿐 아니라 최근 논란이 일었던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언론중재법), 곽상도 무소속 의원 아들의 특혜 의혹을 놓고도 충돌이 이어졌다.
오후 들어 국민의힘 측에서 일제히 팻말을 거두면서 가까스로 각 상임위가 국감을 속개했으나 대장동 의혹을 둔 증인 신청 건을 두고 여야가 또다시 충돌했다.
특히 정무위에서 여당은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 관련 증인 채택을 둘러싸고 설전을 벌이면서 곽상도 의원 아들을 증인으로 요구하기도 했다. 야당이 무더기 증인 출석을 요구한다면서 주식투자 의혹 등으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부인 김건희씨를 부르자고 맞서기도 했다.
야당은 이재명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를 겨냥해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사장 등 대장동 의혹 관련자 40여명의 증인 출석을 요구하고 있다.
![]() |
(서울=뉴스1) 구윤성 기자 =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설치한 ‘대장동 게이트 특검요구’ 손팻말을 정리하고 있다. 2021.10.1/뉴스1 |
법사위에서는 대장동 연루 의혹 관련 권순일 전 대법관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를 겨냥한 질의를 이어갔고 민주당은 윤 전 총장의 '판사 사찰 문건' 작성 의혹을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대장동 의혹과는 거리가 먼 상임위에서도 대장동 의혹 관련 발언이 등장했다. 과방위에서는 민주당이 팻말 등에 항의하자 국민의힘 의원들은 증인 채택 문제를 두고 "대장동 사태가 구린 것처럼 네이버·카카오에도 민주당이 구린 게 있는 것이냐"고 따졌다.
대선 정국의 뇌관으로 떠오른 대장동 의혹으로 여야가 국감 시작부터 정면충돌하면서 앞으로 남은 국감 기간 내내 거친 공방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the300,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