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미래 좌우할 '3A'

[the300]

조철희 정현수 김평화 김민우 l 2020.01.01 05:00

21대 국회의원 총선거는 대한민국의 오늘과 내일을 좌우할 2020년의 빅이벤트다. 선거 때마다 정치권은 표심이 향할 방향을 고민한다. 변화하는 방향 속에서 어떤 정당과 후보에 표를 줄지 고심하는 유권자들도 적잖다.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이 정치권과 전문가를 인터뷰하고 일반 유권자들의 목소리도 들어본 결과 올해 총선 키워드로 3A(Age·Asset·Acros)를 꼽았다. 

세대(Age)·부동산으로 대표되는 자산(Asset)·진영간 교차(Across) 등이다. 올해 총선에 나설 정당과 정치인이라면 이 3가지 ‘A’에 대한 전략을 정육면체처럼 입체적인 큐브(cube·세제곱)로 만들어 제시할 때 ‘승수 효과’를 일으키며 국민들의 선택을 바랄 수 있다.

우선 다수 전문가들은 세대별 표심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올해 총선에서 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전영수 한양대 교수는 “세대별 인구그룹의 규모와 인식을 반영하는 인구구조 변화가 유권자의 양적·질적 변화를 낳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특히 올해 총선에서 처음으로 가장 높은 인구비율(16.75%)의 인구그룹으로 올라선 50대가 ‘캐스팅보트’의 역할을 할 가능성을 높게 봤다.  

총선 준비를 가속화 하는 각 정당들도 세대별 표심을 공략하는데 공을 들이고 있다. 여야 모두 부동층에 가까운 2030세대의 지지를 더 끌어오려 애쓴다. 

2030세대의 지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던 자유한국당은 올해 총선에서 반전을 노린다. 여권이 내세웠던 ‘공정’을 역으로 제기해 지지를 호소할 계획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2030세대 지지 확보에 목마르긴 마찬가지다. 

더불어민주당 총선기획단장인 윤호중 의원은 “2030세대는 보수적이라기보다 이해관계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아직 정치적 선택을 명확히 하지 않은 것”이라며 “이들이 생활인의 관점에서 민주당을 본다면 우리도 충분히 경쟁력 있다”고 말했다.

여야는 또 2030세대 공략을 위해 주거문제 개선을 내세웠다. 이처럼 부동산 문제는 세대 이슈이자 선거 때 뜨거운 감자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 서울을 비롯 수도권 지역구에 뉴타운 공약이 바람을 일으킨 게 대표적인 예다. 이미 올해 총선을 한참 앞두고도 쟁점화가 시작됐다. 한국당은 문재인정부 들어 집값이 폭등했다며 부동산 문제를 여권에 대한 최대 공략점 중 하나로 삼았다. 

민주당은 부동산 시장 상황이 선거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며 집값 안정 정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갔다. 전문가들은 역대 어느 선거 때보다 집값이 높은 상황에서 기존과 다른 선거 프레임 형성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봤다. 

이념적으로는 보수와 진보, 경제적으로는 부자와 서민 프레임이 전통적이다. 부동산의 경우 ‘집주인’과 ‘집 없는 서민’으로 나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상황에선 ‘상대적으로 싼 집을 가진 사람’과 ‘상대적으로 비싼 집을 가진 사람’의 중간층이 분화돼 나타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프레임에서 지역구 49곳의 서울 지역 선거를 각 선거구별로 개별적으로 공략하지 않고, 집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으로 접근해 부동층을 공략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일관성 있는 부동산 정책을 부각시키는데 성공하는 정당 쪽으로 지지가 더 갈 수 있다고 봤다. 

아울러 정당이나 후보가 얼마나 과감하게 진영 논리와 정치 지형을 가로질러(Across) 이질적이면서도 새로운 가치를 받아들여 선보일 수 있는지도 핵심 포인트다. 과감한 변화가 표심을 움직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중간지대에 있는 유권자들이 선거에 읽고 싶은 것 중 하나가 변화다. 그 변화는 이질적 가치를 과감히 받아들이는 것으로 진정성이 강조되는 경우가 많다. 

과거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이나 19대 총선 때 새누리당의 경제민주화 공약, 20대 총선 때 민주당의 김종인 영입이 대표적이다. 이같은 변화는 예상 밖으로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