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친박의 몰락

[the300][朴대통령 파면]친박 70~80명서 10여명 수준으로 쪼그라들어…탄핵 이후 폐족된 친박

구경민 기자 l 2017.03.10 11:27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을 등에 업고 권력 핵심으로 군림하던 친박(친박근혜)계가 '박심'에 결국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위기다. 10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인용되면서다. 70~80명 수준에 머물렀던 친박계는 '최순실 게이트' 사태를 계기로 현재 20~30명 수준까지 세가 크게 줄어들었다.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인용되면서 김진태·윤상현 등 '강성친박'으로 분류되는 10여명만 남게 될 것으로 보인다. 탄핵에 사실상 유일하게 반대했던 정파인 자유한국당이 친박당 꼬리표를 떼기 위해 나서면서 일부 친박 의원들도 친박 이미지를 씻으려 몸부림치고 있다. 막강한 힘을 보이던 친박계도 탄핵 정국과 인명진 비대위 체제 안에서는 '인적 청산 대상자'로 지목되면서 힘을 잃었다. 친박의 힘으로 당선된 대부분의 의원들도 순식간에 등을 돌렸다. 

◇70~80명->10명…친박 세력 10년만에 와해=친박 세력이 태동된 것은 2004년이다. 박 대통령이 2004년 3월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 대표로 선출되면서다. 당시 박 대표는 검찰의 대선자금 수사로 한나라당이 '차떼기당'이란 오명을 썼던 때 '천막당사'를 열어 위기를 돌파했다. 박 대통령 리더십에 절대적으로 의존한 친박계 출범을 알리는 사건으로 불린다. 당시 홍사덕 의원, 김무성 의원, 김덕룡 의원 등이 중심이 돼 박근혜 대표 체제를 만들었다. 유승민 의원, 진영 의원, 김선동 의원, 전여옥 의원, 이혜훈 의원 등이 당시 박근혜 호위세력으로 '원조 친박'으로 불린다. 2007년 경선을 앞두고 TK(대구·경북)지역 의원들과 서청원 의원 등이 친박으로 합류했다. 경선에서 패배하고 2008년 총선을 앞두고 친이(친이명박)계의 '공천학살'이 불면서 공천을 받지 못한 서청원, 김을동, 홍사덕 의원이 친박연대를 만들고 김무성 의원은 영남권 의원을 중심으로 친박무소속연대를 만들었다. 이들은 이후 한나라당으로 복당한다.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이명박 후보에게 박근혜 후보가 패배하며 친박은 위기를 맞았지만 오히려 친이와 분리돼 더 결속력을 다지는 계기가 됐다. 

2010년 이후 친박의 구성원들이 물갈이된다. 당시 김무성 의원, 유승민 의원, 전여옥 전 의원, 이혜훈 의원 등은 2010년을 전후해 박 대통령과 멀어지게 됐다. 2011년 말 박근혜 의원이 한나라당 비대위원장이 되면서 당의 권력을 장악, 새로운 친박이 등장한다. 당시 비대위 공심위원장으로 정홍원 변호사가 임명됐고, 정종섭 서울대 학장이 부위원장으로 임명됐다. 윤상현, 최경환, 김재원, 이장우, 이완구, 서상기, 조원진 의원 등도 이때 친박으로 합류한다. 하지만 지난 4·13 총선에서 집권여당이 야당에게 1당의 자리를 내주며 참패하면서 친박이 선거 패배의 책임론을 지게 됐다. 박 대통령에 의존해온 친박은 이번 '최순실 게이트'로 책임을 면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임과 동시에 권력 기반이 무너지면서 정치적 폐족의 운명에 처하게 됐다. 

◇자유한국당, 자숙·반성 모드로 선긋기=탄핵이 인용되면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자유한국당은 국정농단의 책임을 지고 자숙과 반성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입장이다. 탄핵 반대를 주장한 강성친박들이 탄핵인용 이후에 당의 방침을 수용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친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헌재 심판과 특검 수사의 공정성에 문제기를 제기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자유한국당은 탄핵 이후 보수 지지층 결집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대선 전 개헌을 더욱 강하게 밀어붙일 것으로 전망된다. 박 대통령 탄핵의 원인을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로 잡고 '분권형 개헌'을 주장하며 국면 전환을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정치권에서는 한국당이 자숙의 시간을 보낸 뒤 탄핵에 승복한다는 메시지를 내놓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후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해 60일 이후 조기대선에 대비한다는 전략이다. 한국당내 대권주자로 출마를 이미 선언한 원유철, 안상수 의원 등 외에 비박계인 홍준표 경남도지사도 대권출마를 선언할 것이란 관측이다.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탄핵 인용 후에도 당에 남아 조기대선체제를 이끌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대선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전당대회를 열어 당대표를 선출하는게 물리적으로 힘들기 때문이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