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적합도', 반기문 주춤…문재인·김무성과 오차범위

[the300-리얼미터 여론조사]'국가과제 실현 적합도 11월 조사'…반 총장, 3개월째 하향세

박경담 기자 l 2015.11.30 11:34

반기문 유엔(국제연합) 사무총장이 차기 대선주자 '국가과제 실현 적합도 조사'에서 세 달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지지율은 하락세를 기록, 2,3위를 기록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오차범위 내로 격차가 줄었다.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30일 발표한 '19대 대선주자 국가과제 실현 적합도 11월 조사'에 따르면 반 총장은 23.6%의 지지율을 기록해 1위에 올랐다. 반 총장이 9월 박근혜 대통령의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10명의 후보군에 포함된 뒤 세 달 연속 선두를 놓치지 않은 것이다.

하지만 반 총장 지지율 추이를 보면 28.5%(9월)→24.2%(10월)→23.6(11월)로 하향세를 보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반 총장은 2~3위인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오차 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이며 아슬아슬하게 1위를 기록했다. 반 총장이 9월 조사에서 당시 2위였던 김 대표에게 12%p 가량 앞섰던 것과 비교하면 하락세가 뚜렷하다. 

반 총장은 △경제성장 △분배 △국민통합 △민주주의 발전 △남북 평화와 통일 등 5대 국가 과제 부문별 조사에서 '국민통합'(29.4%), '남북 평화와 통일'(36.7%) 2가지 부문에서만 1위에 올랐다. 9월 조사에서 5관왕을 차지했던 반 총장은 남은 3가지 부문의 1위 자리를 문 대표에게 넘겨줬다.

다만 반 총장은 '남북 평화와 통일' 분야에서 독보적인 지지를 기록했다. 반 총장은 이 부문에서 자신의 최고기록을 세웠고 2위인 문 대표와의 격차도 15%p로 벌렸다. 반 총장의 '평양 방문설'이 불거지면서 경색된 남북관계에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표와 김 대표는 적합도 조사에서 각각 22.0%, 21.1%를 기록하며 주춤거린 반 총장 지지율을 흡수했다. 문 대표는 특히 지난 달 조사에서 전달 대비 7.1%p 급등하며 2위에 오른 뒤 자리를 유지했다. 19대 국회 마지막 정기국회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 등을 두고 여당과 대치하면서 야권 부동층이 결집한 것으로 해석된다.

9월 조사에서 반 총장 등장으로 선두를 내줬던 김 대표 역시 지지율을 상당히 회복했다. 김 대표는 5대 국정과제 부문별 조사에선 야권 이슈로 여겨진 '민주주의 발전'과 '분배' 분야에서 2위를 차지했다. 경제성장 부문도 2위를 기록하며 김 대표의 지지율 상승을 견인했다.



반면 박 시장은 적합도 조사 결과 10월 조사 대비 6.9%p 하락한 9.8%로 4위를 기록했다. 전 달과 비교해 순위는 같았지만 지지율이 급락한 것.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와 여야 대치 국면에서 양 당 대표에 비해 박 시장에 대한 주목도가 떨어진 영향 탓으로 분석된다.

5~7위는 안철수 새정치연합 전 공동대표(5.0%), 오세훈 전 서울시장(3.8%),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3.3%) 순으로 조사됐다. 유승민 새누리당 전 원내대표,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천정배 무소속 의원이 뒤를 이었다.

한편 차기 대통령이 챙겨야 할 국정과제로는 '경제민주화·소득재분배'가 27.3%로 부동의 1위를 기록했다. 머니투데이 더300이 3월부터 '국가과제 우선성 조사'를 실시한 이래 '경제민주화·소득재분배'는 한 차례(8월 조사)만 제외하고 계속 1등을 달렸다.

'국가경제 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꼽은 응답자는 19.4%로 2위를 꾸준히 유지했다. 응답자들은 이어 국민통합(12.2%), 국민복지 증진(12.2%), 민주주의 발전(9.2%), 고용증대(8.0%), 남북평화·통일(6.5%) 순으로 중요한 국가과제라고 답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26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자동응답전화(ARS)를 활용해 유·무선전화를 병행한 임의전화걸기(RDD) 방법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5.7%, 표본오차는 ±3.1%p(95% 신뢰수준)였다. 조사는 국가 인구통계에 따른 성·연령·권역별 사후 가중 방식을 적용, 통계보정 작업을 거쳤다.

공유하기